분류 전체보기
-
JWT RS256 Public key 인증 에러카테고리 없음 2022. 11. 16. 22:53
에러 메세지는 아래와 같음 failed to validate access token as jwt signature does not match locally computed signature. jwt validity cannot be asserted and should not be trusted. 마이크로 서비스로 Back-End API 서버를 구현하다가 기존에 HS256로 되어있던 토큰 인증 알고리즘을 RS256 으로 변경해야 되었음. 편의상 서비스1, 2 라고 설명함. 서비스1 에서 private key 와 public key 를 사용함에는 문제가 없었음. 서비스2 에서 서비스1 에서 발급한 토큰을 인증하려고 할 때 위 에러가 발생함. private key 와 public key 는 아래 사이트에서 생..
-
Metro Unexpected TokenReact Native (리액트 네이티브) 2022. 5. 9. 14:23
Node 버전 : 16.15.0 react-native-cli 버전 : 2.0.1 react-native 버전 : 0.68.1 현상 : react-native run-ios 로 빌드시 Metro 모듈에서 Unexpected Token 에러 해결 방법 : 1. 기존 node.js 버전 전부 제거 nvm ls 로 버전 기존 버전 확인 (버전명은 상황에 따라 변경) nvm uninstall v10.15.1 2. 케시 제거 nvm cache clear 3. node.js 설치 nvm install v16.15.0 4. react-native-cli 제거/설치 제거 : npm uninstall -g react-native-cli 확인 : react-native 설치 : npm install -g react-nat..
-
[백준 17975번] Strike Zone알고리즘/백준 문제풀이 2022. 2. 9. 21:17
금광 (https://www.acmicpc.net/problem/10167) 문제와 동일한 문제이다. 금광에서는 금광(x, y)마다 이익 또는 손해(w)가 있지만, 이 문제에서는 스트라이크/볼 지점의 이익/손해 가 정해져있다. 입력 값이 아래와 같이 들어오는데 2 -1 -1 4 4 2 0 0 2 2 5 2 첫 번째 숫자 2 는 스트라이크인 점의 수 그리고 2개의 줄(-1, -1), (4, 4)에 스트라이크인 점의 위치 그 다음 숫자는 2 는 볼인 점의 수 그리고 2개의 줄(0, 0), (2, 2)에 볼인 점의 위치 끝으로 마지막 줄은 스트라이크 점의 이익(5)과 볼의 손해(2) 값이 주어진다. 따라서 금광 문제와 동일하게, 금광세그로 문제를 풀면된다. 금광 문제에서 xi, yi, wi 로 문제를 풀었다면..
-
[백준 13896번] Sky Tax카테고리 없음 2022. 1. 29. 15:33
1. LCA 알고리즘에서 2^0 번째 조상을 sparse table 에 저장하고, 각 정점의 depth 를 저장하기 위해 DFS 탐색을 수행하는데, 이 때, 자신을 포함한 모든 하위 노드의 갯수를 저장해둔다. 2. 1번 쿼리의 답은 아래와 같이 3가지 케이스로 나눌 수 있다. 1. R 과 U 가 같은 정점인 경우 = 답 : N(전체 정점 수) 2. LCA(R, U) 와 U 가 같은 정점인 경우 = 답 : N(전체 정점 수) - U의 자식들 중에서 R을 자식으로 둔 노드가 저장해둔 모든 하위 노드 갯수 3. LCA(R, U) 가 U 가 아닌 경우(U 보다 depth가 낮다) = 답 : U를 포함한 U의 모든 하위 노드의 갯수 핵심 부분이 되는 코드는 아래 추가해둔다. LCA 의 DFS 탐색을 돌면서 cnt..
-
[백준 23238번] Best Student알고리즘/백준 문제풀이 2022. 1. 20. 21:50
참고 : 풀이 코드는 없습니다. 힌트만 드립니다. 1. Mo's -> Query sort, delete, add 2. Student ID -> 값 / 좌표 압축 3. 압축된 값의 범위가 1 ~ 10만이고, 그 값을 SQRT 로 나눔 (SQRT Decomposition) 4. SQRT 로 나눈 버킷마다 빈도수의 MAX 값 저장 5. 쿼리에 대한 답은 모든 버킷에서 빈도수의 MAX 값을 가진 버킷을 찾음. 버킷을 찾았으면 그 안에서 MAX 값을 또 찾아줌. 빈도수가 같은 값이 있으면 ID 가 더 큰 값을 찾음. O(Q) * O(sqrt + sqrt) (값 / 좌표 압축을 할 때 정렬을 해서 실제 값이 크면, 압축된 값도 크도록 해주면 구현이 편해짐) 시간복잡도 O(Q * sqrt)
-
Intellij(인텔리제이) 에서 메모리(Heap, Stack) 사이즈 설정하기환경설정 2021. 2. 7. 22:21
1. 상단 메뉴 -> Run -> Edit Configurations... 2. 버전에 따라서 VM options 입력 항목이 바로 보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VM options 입력 항목이 바로 보인다면 그곳에 바로 아래와 같이 입력해준다. -Xms512M -Xmx1024M -Xss25M -Xms512M -Xmx1024M -Xss25M Xms : 최소 할당 사이즈 Xmx : 최대 할당 사이즈 Xss : 스택 사이즈 3. VM options 입력 항목이 안보인다면, 아래와 같이 Modify options 에서 Add VM options 항목을 체크하여 필드를 추가해준다. 추가된 필드에 위에 처럼 입력한다.
-
Windows 10 Pro 깜빡임 증상 발생시 확인해볼 사항카테고리 없음 2020. 9. 30. 22:57
*해당 포스팅은 Windows 10 Pro 혹은 RDP(원격 데스크탑)를 사용하는 환경에 해당됩니다. 저의 경우는 해커가 3389(RDP) 포트로 접속을 시도하면서 화면 깜빡임 현상이 발생했습니다. 원인을 찾다가 이벤트 뷰어도 확인하게 되었는데, 해외 IP에서 RDP 접속을 시도하고 있더군요. RDP 포트를 기본(3389) 포트가 아닌 다른 포트로 변경한 후에는 이벤트 로그도 없고 깜빡임 증상도 사라졌습니다. SSH, RDP 같이 털리면(?) 위험한 포트는 변경해서 사용해야 됨을 다시 한 번 느끼게 되네요. 혹시 저와 같은 증상을 겪고 계신분은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